주일말씀

One at a time, All

우기빌리 2023. 11. 13. 11:57

11.12

김요한 P.

마가복음 5:21-24

 

MBTI(성격유형검사)

E    I

N    S

F    T

J    P

 

MBTI의 취지: 서로 잘 이해하여 화목한 세상을 만들어 가기 위함

 

N,S는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지에 따른 구분

N: 직관, 영감에 의존. 숲과 나무 중 숲을 바라보는 성향

S: 감각, 현실, 경험에 의존. 숲과 나무 중 나무를 바라보는 성향

 

고민이 있을 때

S: 주위 사람들에게 의견을 물어본다.

N: 자신에게 질문한다. '너, 잘하고 있니?'

 

예수님도 한 인간이었기에 MBTI를 가지고 있었겠지만, 그와 동시에 신이기에 한 쪽에 쏠리지 않으셨을 분.

 

본문에서 예수님은 가는 곳마다 인파로 둘러싸여있던 분이고, 가르치고, 고치는 것에 전념했던 분이기도 하다.

회당장은 유대인 종교계의 핵심 리더이다. 교회로 따지면 A&B에는 4개의 부서로 나뉘어져있고, 각 부서에는 회장이 있는데 회당장은 이 회장들 중에 회장. 많은 이들 사이에서 존경 받고, 중요한 인물.

 

그런 회당장의 간곡한 부탁을 예수님을 거절하지 않았다.

 

*

말을 할 때, 거쳐야되는 단계 3가지

1. 이 말이 맞는가, 틀린가?

2. 이 말이 필요한가? (맞지만 필요한 게 아니라면 TMI)

3. 지금 해야될 말인가?

 

우리 역시 해당 질문들을 거치며 행동해야되지만 차이점이라면 우리는 하나님께 아뢰어야되는 것.

 

회당장의 그런 부탁은 위 3가지에 모두 부합한 것.

 

맞는 일, 필요한 일, 지금 해야될 일을 할 때, 우리는 자주 우리의 주의력을 흐트리는 일들을 마주한다.

 

내가 만약 본문 속 예수님이었다면? 회당장의 딸을 고치러 가는데, 혈루병을 앓고 있던 여자한테 방해를 받았다면?

 

1개, 1개 따지다 보면 쉽게 올 과부하

또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오게 될 부담감

 

우리가 흔히 내놓는 핑계들:

학교 챙기기도 바쁜데, 가정 챙기기도 바쁜데, 일 챙기기도 바쁜데

하나하나 타혐하고 조율하면 끝도 없다.

 

우리는 한 번에 하나씩 해나가야되고, 이들은 결국 해내게 되어있다. 

한 번에 한 사람, 한 개씩으로서 미뤄지게 될 것들은 사실 우리의 걱정보다 지체되지 않아.

 

우리가 잘 해야될 것은 ZOOM IN, ZOOM OUT. 체력이 100 있는데 3가지 일을 처리해야될 경우, 33, 33, 33으로 나눌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주와 대화하며 나가는 것.

 

우리는 내려놓음이 아닌 주님과 그 일을 붙잡는 것이 필요하다.

성경은 예수님도 하셨으니까, 너희도 할 수 있다는 증거이다.

 

다 사랑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

 

도미노 신앙: 한 개, 한 개 쓰러져가듯 내가 해야될 것들을 해결해나가는 것

 

그리고 안되면 어때, 우리에겐 천국 소망이 있는데

 

한 곳, 모든 곳에 책임을 다하는게 아닌, 내가 있는 곳에 책임을 다하자.

 

묵상:

오늘 내게 벌어질 일을 예상하는 것이 나에게 큰 안정감을 주었다. 중간에 계획이 틀어지면 인상을 쓰게 되고, 앞으로 해야될 것들을 생각하다가 지쳐버리는 경우도 많이 존재한다. 뭐든 잘 해내고 싶은 마음, 하나도 놓치고 싶지 않은 마음, 그러다 보니, 하나하나에 집중할 수 없는 마음. 비단 일에서 뿐만 아니라 관계에서도, 일상에서도 보여지는 모습이다. 한 개씩, 한 개씩 집중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고는 있다. 다만 너무 주님을 신뢰하지 않은 모습에서 나오는 말이기도 하다. 무책임하고, 철없는 소리처럼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말을 하는 나조차도 그렇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나님은 분명 능력을 주신다. 이를 신뢰하며 나아가는 것이 나의 몫이다. 내가 있는 자리에 책임을 다하며 주님과 함께 붙잡으며 나아가는 한 주가 되야지.

'주일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도 믿음의 별자리에 누워 흘러가요  (3) 2023.12.04
내 인생의 길갈  (1) 2023.11.19
3rd Paul: From Acts, To Bridge  (0) 2023.10.30
Text and Context  (1) 2023.10.22
일과 영성  (0) 2023.10.20